[자격증] 유통관리사 2급

[유통관리사 2급] 4과목_ 바코드 종류, GTIN, POS 시스템 운영·활용

인포레몬 2023. 9. 26. 13:00
반응형

안녕하세요 인포레몬입니다.
유통관리사 2급 개념정리가 힘드시다고요~?
인포레몬이 과목별 필수내용을 정리해서 알려드립니다!
각 과목마다 정확한 개념을 숙지해야 문제풀이 시 많은 도움이 됩니다.
오늘은 4과목 유통정보 내용 중 바코드 종류, GTIN, POS 시스템 운영·활용에 대해서 알아보겠습니다! 

 

[POS 시스템 활용]

 

[바코드]
GS1 : 국제표준 상품코드 관리 세계기구
GS1 Korea : 국제표준을 따른 대한민국에서 사용되는 코드, 대한상공회의소 물류진흥원 주관
GS1 CODE : 최종소비자에게 판매되는 상품에 사용되는 코드로 제품을 식별하는 것이 목적으로, 제품 분류는 불가능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제품식별 숫자나 문자(또는 둘의 조합)로 구성, 상품의 총 중량변화 5% 이하 코드부여 안 함

[GS1 코드] : 중량,  규격,  포장형태,  맛,  향,  색상으로 구별
1. GTIN : 국제거래 단품 식별코드로 GS1-8/GS1-13/GS1-14 가 있음
1-1. 숫자구분
① 국가식별코로(3자리) : 첫 3자리는 국가식별코드로 대한민국 코드는 "880"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국가식별은 가능하나 원산지 식별과는 상관없음 
② 제조업체코드(6자리) : 제품을 제조하거나 판매하는 업체별로 고유코드 부여, 중복코드 없음
③ 상품품목코드(3자리) : 업체가 상품에 부여하는 임의적 코드
④ 체크 리지트(1자리) : 판독오류를 방지하기 위한 코드

2. GTIN-13 : 전 세계 표준형 상품식별코드
3. GTIN-8 : 소형상품용 단축형 상품식별코드
4. GTIN-14 : 일반적인 박스상품에 부여되는 상품식별코드

[EPC 코드]
: 전자상품식별코드, 동일품목의 개별상품까지 원거리에서 식별
  위조품방지, 유효기간관리, 재고관리, 상품 추적 가능하며 효율적임
  GS1 코드체계 기반으로 아래 코드들에 적용시킴
  - GTIN(국제 거래단풍식별코드), GLN(로케이션코드), GRAI(재활용기 식별코드), SSCC(수송용기 코드)

[2차원 바코드 종류]
1. PDF417 : 길이, 높이 구분
2. Maxicode : 매트릭스형 코드
3. Code49 : 작은 대상물에 바코드라벨 붙이기 위해 개발
4. SQRC : 데이터인식 제한 코드
5. QR : 세 개의 모서리 검출패턴으로 360° 방향인식가능, 오류복원기능 있음
              ① Micro-QR - 심벌 1개, 작은 공간에 인쇄가능
              ② Frame QR - 문자나 화상 넣을 수 있음
              ③ iQR - 많은 정보량, 크기는 더 작음

※ 고정형 QR : 부착된 QR코드를 스캔하여 결제, 위변조방지 조치 해야 함(특수필름, 잠금장치 설치)
     변동형 QR : 결제 앱에서 QR을 생성하고 QR리더기로 인식하여 결제, 위변조 방지를 위해 유효시간은 3분
※ 가맹점 탈퇴·폐업 시 QR코드 파기 해야 함

※ 1차원 바코드 : 13~14 숫자, 2차 문자, 숫자, 이미지 가능

[POS 시스템 운용과정]

[POS 시스템 운용 과정]


[POS 데이터 활용 효과]
1. 하드메리트(생산성 향상을 위한 단순이익)
: POS 기기 자체를 도입하면서 얻게 되는 효과로
  작업효율화, 사무합리화, 데이터 처리 고도화, 계산과정 부정방지 등
2. 소프트 메리트(상품력 강화를 위한 활용이익)
: 데이터를 활용하여 얻는 효과로 로스관리, 상품구색과 매대관리, 단품관리 등

[POS 데이터의 활용단계]
1단계 - 상품관리단계 : 기본적인 보고서만 활용, 매출확보, 판매량 등
2단계 - 상품기획 및 매장 효율 향상단계
              : 날씨, 기온 파악, 선반진열 효율성, 재고회전율 등
                 정보와 연계하여 판매량 분석, 상품관리
3단계 - 재고관리단계 : 자동발주시스템 (EOS)와 연계해서 재고관리, 발주량 자동 산출
4단계 - 마케팅단계 : 상품정보+ 고객정보 활용 마케팅 실시
5단계 - 전략적 경쟁단계 : POS 정보와 경영정보를 활용해서 전략적 경쟁수단으로 활용

[POS 시스템 도입에 따른 유형별 효과]
1. 제조업체
① 경쟁상품과의 판매경향 비교
② 판매가격과 판매량의 상관관계
③ 신제품, 판촉상품 판매경향 파악
④ 기후변동에 따른 판매동향 분석

2. 소매업체(유통업체)
① 효율적 인원배치, 판매원 교육시간 및 오류 감소
② 할인판매 상품, 사장품, 단품 관리용이
③ 적정한 상품진열 위치 선정 가능
④ 고객의 구매동향 파악, 고객정보로 고객관리 가능
⑤ 재고관리로 매입관리가능, 품절예방 가능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