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 9. 18. 23:30ㆍ[자격증] 유통관리사 2급
안녕하세요 인포레몬입니다.
유통산업 종사자에게 매력적인 자격증 시험이죠?
유통관리사 2급 과목별 필수내용 알려드립니다.
각 과목마다 정확한 개념을 숙지해야 문제풀이 시 많은 도움이 됩니다.
오늘은 2과목 상권분석 내용 중 신규점포에 대한 상권분석 종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.
■ 신규점포에 대한 상권분석 종류 ■
[규범적 모형]
1. 레일리의 소매인력(중력)의 법칙
: ①도시인구수 ②거리 가 중요 요인이며, 거리가 멀어도 인구가 많은 도시로 쇼핑을 간다
즉, 상권의 규모는 인구에 비례하고 분기점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
상권파악보다는 이웃도시들간의 "상권경계를 결정"
※ 한계점 : 거리의 다양성, 편의 및 서비스, 상품유형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음
2. 컨버스의 분기점모형(수정소매인력 법칙)
: 레일리 법칙의 한계점을 보완수정한 이론
①도시면적 ②거리 가 중요 요인이며, "분기점"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구매이동이 줄어드는 현상을
거리 - 감소함수 반영하여 각 상권의 분기점 기준 거리를 계산하여 어떤 상권으로 구매하러 갈 것인지를 결정
3.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
: 상권규모는 "중심지의 기능"에 따라 형성된다
① 최대도달 거리 :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중심지까지 움직이는 최대거리
② 최소수요충족 거리 : 최소한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고객이 확보된 범위(거리)
③ 가장 이상적인 배후상권의 모양 : 정육각형(최대 도달거리 = 최소수요충족거리)
④ 중심지의 최대도달거리는 최소수요충족거리 보다 커야 상업시설 입지 가능
→ 즉, 최대거리 안에 고객이 구매하려는 상품이 다 존재하는 것
⑤ 중심지간의 상권규모 차이는 "계층적 구조를 발생시킴"
→ 그러나, 실제로는 계층차이 생기지 않음, 비현실적인 가정을 포함한 부분적인 이론으로 논란성이 있음
4. 티센 다각형모형
: 공간 독점 접근법에 기반하여 상권을 구획, 최근접 상가 기준으로 상권설정
티센다각형이 작으면 상권 내 결쟁이 심한 것을 의미하며 시설 간 "경쟁정도"를 알 수 있음
[확률적 모형]
1. 허프의 확률모델
: 소비자의 특정 점포에 대한 효용은 ''점포의크기"와 "점포까지의 거리"에 좌우된다
→ 크기와 거리만 측정함, 다른 요인 고려 안 함
1-1. 수정허프 모델
: 기존 허프 모델에서 실용성 반영, 변수추가, 민감도 추가(면적민감도는 1, 거리민감도는 -2 로 고정)
복수의 상업시설의 고객 흡인용 계산할 수 있음
매장이 크고, 가까우면 소비자가 상업지에서 구매할 확률이 높다
→ 즉, 구매확률은 상업지 매장면적에 비례, 상업지 도달거리 제곱에 반비례
● 허프모델 적용한 신규점포 입지분석 과정
조사할 잠재상권의 범위 결정 → 소규모고객 집단 지역(zone) 구분
→ 지역에서 점포까지 거리 측정 → 점포크기, 거리에 대한 계산(지역의 인구수X1인 지출비)
→ 예상매출액추정
2. 루스의 다항로짓 함수 모형(MNL_MultiNomial Logit)
: 특정한 점포의 매력도 및 효용이 높을수록 해당점포가 선택될 확률이 높아진다
소비자의 점포 선택행위와 특정 점포의 시장 점유율을 예측하는데 이용된다
3. MCI 모형
: 허프의 확률모형을 확장하여 점포의 다양한 매력을 고려한 모형
매장면적과 거리뿐만 아니라 상품 구색 효용, 판매원의 서비스 효용 등 여러 요인을 평가하여 결정
[회귀분석]
: 시장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어떤 것이 있으며,
영향정도는 어느 정도 인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
1. 종속변수 : 예측대상 변수로 선정된 '하나'의 변수
2. 독립변수 :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'두 개 이상'의 여러 개의 변수들
※특징 :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 확인하면 제3의 변수를 통제가능하다
확장성과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
독립변수들 간에는 상호관련성이 없어야 한다
→ 실제로는 독립변수들 간에 상호관련성이 아예 없을 수 없어 현실성이 없는 경우가 많다
[상권정보 수집방법]
1. 우편 조사법 : 회수율 낮음
2. 유치조사법 : 조사표 배포 → 조사원이 직접회수, 회답시간에 효과적
3. 가두조사법 : 미리 약속을 정해서 인터뷰
4. 전화조사법
5. 점두조사법 : 점포 앞에서 조사원이 대기하다가 실제로 구매한 소비자에게 질문
6. 내점객조사 :
① CST(고객점표법)
② 실제조사(각 가정을 개별방문조사)
③ 2차 자료이용법(타임페어, 판매기록이용)
④ 유동인구수 조사 - 평일/주말 각각 하루씩 선정해서 조사해야 비교적 정확함
- 하루 中 구간별 시간대 선택하여 조사(낮 12~2시, 저녁 6~8시, 밤 9~10시)
'[자격증] 유통관리사 2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통관리사 2급] 2과목_쇼핑센터 유형·테넌트 관리·상권분석 평가 (0) | 2023.09.20 |
---|---|
[유통관리사 2급] 2과목_입지의 특징·입지 평가방법 (0) | 2023.09.19 |
[유통관리사 2급] 2과목_상권의 개념.분석 (0) | 2023.09.18 |
[유통관리사 2급] 1과목_유통경로 특징2 (0) | 2023.09.17 |
[유통관리사 2급] 1과목_도매상의 특징, 유통경로 특징1 (0) | 2023.09.17 |